뽕나무
페이지 정보
작성자주제홍 댓글 0건 조회 1,476회 작성일 20-06-12 15:42본문
뽕나무
한글개혁 개정 성경에 보면 아모서 7장 14절에 “아모스가 뽕나무를 재배하는 자” 라는 말이 나오며 누가복음 19:4절에 “삭개오가 돌무화과에 올라갔다”는 말이 나온다.(개혁성경에는 뽕나무) 과연 ①뽕나무와 돌무화과 나무가 어떤 관계가 있는가? ②또한 아모스가 뽕나무를 재배 하였다면 무슨 목적으로 재배한 것인가? ③BC 8세기에 뽕나무를 재배하여 누에를 쳤던 것인가? 등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뽕나무라고 번역이 된 히브리어 단어는 「쉬케밈」 (Sycomore fruit) 이라는 말로서 이 단어의 원형은 「쇠캄」이다. 이는 팔레스타인의 저지대에서 잘 자라는 무화과 나무의 일종이다.(Sycamore-figs)이를 크고 맛있는 열매가 맺히는 무화과 나무와 구분하여 작은 열매가 맺히는 것으로 「돌무화과 나무」라고 한다.
신약에서 삭개오가 올랐던 돌무화과 나무라고 불리는 나무는 그리스어로 「쉬코모레아」로서 히브리어를 번역한 나무이다. 즉 아모스가 재배한 뽕나무와 삭개오가 올랐던 돌무화과 나무는 똑같은 나무인 것이다. 실제로 이 나무는 잎사귀가 뽕나무와 흡사하며 작고 맛없는 무화과 열매를 맺는 것이다. 지금도 여리고(예리코) 거리에 가보면 이러한 나무가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아모스가 이 나무를 재배한 것은 오늘날의 양잠을 위한 것이 아니라 나무가 귀한 가나안 땅에서 건축 재료로서 아주 요긴하게 사용되었다. 아모스는 목자이면서 이 나무를 재배하였다고 성경이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목자들이 양과 염소를 치면서 그 부근의 지주들이 키우는 나무를 재배하는 일을 도왔던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아모스의 원래직업은 목자요 부업은 나무를 재배하는 일을 했으며 하나님에 의해서 BC8세기 문서 예언자로 사역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뽕나무는 돌무화과 나무로 번역함이 더 적당하다고 생각을 한다.
누가복음 19:4
“앞으로 달려가서 보기 위하여 돌무화과 나무에 올라가니 이는 예수께서 그리고 지나가시게 됨이러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