뽕나무 > 하늘소리칼럼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하늘소리칼럼

뽕나무

페이지 정보

작성자주제홍 댓글 0건 조회 1,476회 작성일 20-06-12 15:42

본문

뽕나무

 

한글개혁 개정 성경에 보면 아모서 714절에 아모스가 뽕나무를 재배하는 자라는 말이 나오며 누가복음 19:4절에 삭개오가 돌무화과에 올라갔다는 말이 나온다.(개혁성경에는 뽕나무) 과연 뽕나무와 돌무화과 나무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또한 아모스가 뽕나무를 재배 하였다면 무슨 목적으로 재배한 것인가? BC 8세기에 뽕나무를 재배하여 누에를 쳤던 것인가? 등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뽕나무라고 번역이 된 히브리어 단어는 쉬케밈(Sycomore fruit) 이라는 말로서 이 단어의 원형은 쇠캄이다. 이는 팔레스타인의 저지대에서 잘 자라는 무화과 나무의 일종이다.(Sycamore-figs)이를 크고 맛있는 열매가 맺히는 무화과 나무와 구분하여 작은 열매가 맺히는 것으로 돌무화과 나무라고 한다.

신약에서 삭개오가 올랐던 돌무화과 나무라고 불리는 나무는 그리스어로 쉬코모레아로서 히브리어를 번역한 나무이다. 즉 아모스가 재배한 뽕나무와 삭개오가 올랐던 돌무화과 나무는 똑같은 나무인 것이다. 실제로 이 나무는 잎사귀가 뽕나무와 흡사하며 작고 맛없는 무화과 열매를 맺는 것이다. 지금도 여리고(예리코) 거리에 가보면 이러한 나무가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아모스가 이 나무를 재배한 것은 오늘날의 양잠을 위한 것이 아니라 나무가 귀한 가나안 땅에서 건축 재료로서 아주 요긴하게 사용되었다. 아모스는 목자이면서 이 나무를 재배하였다고 성경이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목자들이 양과 염소를 치면서 그 부근의 지주들이 키우는 나무를 재배하는 일을 도왔던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아모스의 원래직업은 목자요 부업은 나무를 재배하는 일을 했으며 하나님에 의해서 BC8세기 문서 예언자로 사역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뽕나무는 돌무화과 나무로 번역함이 더 적당하다고 생각을 한다.  

 

 

누가복음 19:4

앞으로 달려가서 보기 위하여 돌무화과 나무에 올라가니 이는 예수께서 그리고 지나가시게 됨이러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244건 51 페이지
하늘소리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94 주제홍 1328 06-12
493 주제홍 1469 06-12
492 주제홍 1499 06-12
491 주제홍 1500 06-12
490 주제홍 1255 06-12
489 주제홍 1461 06-12
488 주제홍 1396 06-12
487 주제홍 1165 06-12
486 주제홍 1204 06-12
485 주제홍 1548 06-12
484 주제홍 1225 06-12
483 주제홍 1718 06-12
열람중 주제홍 1477 06-12
481 주제홍 1118 06-12
480 주제홍 1408 06-12
게시물 검색